[중요팁]
- xml, json :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때 표현하는 방법
- xml : 태그로 구분해서 데이터를 표현, 사람이 보기 쉽지만, json보다 용량 크고 웹에서 파싱과정이 복잡
- json:java script객체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, 사람이 보기는 어렵지만, 용량이 xml보다 작고 웹에서 파싱이 수월
예> 서버가 보내는 메세지는 xml 또는 json으로 / 카카오톡 푸쉬, 광고 이미지 출력
json 문법
[ ] 배열
{ } 객체
: 속성(멤버변수)과 값의 구분
, 객체와 객체 / 속성과 속성 구분
[제이손 ajax로 파싱해서 가져오기, 소스파일]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/>
<title>JSON 파싱</title>
<style> </style>
<script src="//code.jquery.com/jquery-1.11.3.min.js"></script>
<script>
//$(function(){})의 기능은 body의 구조를 파악하자 마자
$(function(){
$.ajax({
url: "data.json",
dataType: "json",
success: function(data){
//json의 경우는 data는 파싱된 결과
//alert(data[0].num);
$.each(data, function(index, item){
alert(item.key + ":" +item.value);
//객체를 가져다가 파싱
//var ar=data["fields"];
//var ar1=data["records"];
//alert(ar[0].id+ar1[0].재산구분)
})
}
})
})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[json파일 만들기 "data.json"]
[{"key":"1", "value" : "국어"},
{"key":"2", "value" : "수학"}]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vanillasea81/220385546099